1971년 인천기독교도시산업선교회의 초가 사무실 모습. 열악한 노동 현실 속에서 자신들의 운명을 개선해보려는 노동자들이 손을 내밀 곳은 교회밖에 없었다.
|
[토요판] 한홍구의 유신과 오늘
<26>도시산업선교회 마녀사냥
한국전쟁 이후 노동운동의 불모지였던 이 땅에 뒤늦게 1970년대에 민주노조의 깃발이 오를 수 있었던 데는 개신교의 산업선교회와 천주교의 한국가톨릭노동청년회(JOC)와 같은 산업선교 또는 노동사목 조직의 역할이 매우 컸다. 너무나 열악했던 한국의 노동 현실에서 전태일의 죽음이 땅에 묻히지 않고, 그 불씨가 민중들의 가슴에서 가슴으로 전해지다 민주노조라는 결실을 맺을 수 있었던 것은 산업선교회와 가톨릭노동청년회의 덕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1960년대까지는 사회적인 개혁이나 구원을 의미하는 산업선교란 말보다 개인의 복음화를 강조하는 산업전도란 말이 많이 쓰였다. 이 당시까지만 해도 자본가들은 산업전도를 적대시하지 않았다. 특히 사장이 신자일 경우는 전 종업원을 의무적으로 예배에 참가시키기까지 하는 일도 있었다. 산업선교회에서는 감리교의 조승혁, 조화순 목사 등이 활약한 인천산선과 예수교장로회 측의 조지송, 인명진 목사가 활약한 영등포산선이 특히 두드러진 활동을 보였다. 조화순 목사의 경우 당시로서는 보기 드문 여성 목사였는데 1966년 말 동일방직에 들어가 6개월간 실제 노동을 했다. 짧은 기간이지만 노동자로 생활하면서, 그리고 산업선교회에서 일하면서 조화순은 노동 자체도 쉬운 것은 아니었지만 노동자로서 받는 천시와 모욕이 견디기 힘들었다.1970년대 민주노조의 행렬
뒤엔 산업선교회가 있었다
“도산 들어오면 도산한다”는
말이 급속히 퍼지기 시작했고
인명진·조화순 목사가 구속됐다 “종교를 빙자한 불순세력”이라며
박정희가 조사를 지시하자
한달 뒤 이런 보고가 돌아왔다
“그들은 불순세력이 아니며
근로기준법대로 해달라캅니다”
박정희는 화를 냈다
“유신때 법 고치라니까 뭐 했노?”